코호트 분석으로 스타트업 서비스 분석하기
·
잡념과 생각
스타트업에게 좋은 지표에 대해서 지난번 기고했던 내용의 연장으로 이번에는 각 지표별로 하나씩 설명하고자 한다. 사실 고객을 세분화하는게 먼저 선행되어야 하는 지표 분석이지만 린 분석이란게 어떠한 특정 순서를 따르지 않고 자신의 상황에 맞춰 필요한 분석을 진행하는 것이 가장 알맞은 것이라고 판단된다. 그래서 가장 처음에는 이미 서비스를 출시하였지만 생각보다 반응이 미미한 경우 즉 출시 혹은 베타테스트를 진행 중인 서비스를 분석할 수 있는 개념을 짚고 넘어가고자 한다. 참고 이전 글: (2016/03/22 - [스타트업과 경영/경영] - 스타트업 서비스의 좋은 지표.. 린 분석과 KPI) 코호트 분석은 시간을 두고 비슷한 그룹을 설정하여 비교하는 것을 말하는데 서비스를 만들고 테스트를 지속적으로 하는 과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