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광래, 너무 들뜬 것은 아닌가?
·
축구 이야기(deprecated)
어디를 가던, 여론이 가장 무섭다. 실제로 축구협회의 무자비한 경질 과정과 인사 문제는 확실히 잘못된 과정이었고, 지금의 여론이 형성되는 것이 당연하다. 하지만 조광래 감독의 여론을 등에 업고 뱉는 말들이 조금씩 자신의 국가대표 감독 실패 과정을 인정하지 못하는 분위기이고, 아쉬움이 남겠지만 쉽게 떠나지 못하는 모습이다. 게다가 축구협회를 맹비난하며 들끓었던 축구협회의 정치적인 부분까지 눈에 띄게 보이고 있다. 로그인이 필요없는 추천!! 여러분의 클릭이 큰 힘이 됩니다^^ (사진 출처=골닷컴) 하지만 대세라고 하기엔 사실 축구협회가 주장하는 그의 '실력'은 이미 검증됐다. 일본전 참패, 레바논전 패배, 하지만 그는 상당히 긍정적으로 '해외파, 컨디션 조절만 잘되면..' 이라며 해외파에 유독 기대는 모습이..
한국 A매치 감독 선임 난항 '대안은 히딩크뿐인가?'
·
축구 이야기(deprecated)
첫 글인데 다소 무겁고 어두운 이야기부터 꺼내게 되는군요.. 요즘 20대라면 누구나 기억할 2002년 월드컵.. 다들 기억하시죠? 2002년 월드컵에 두 명의 명장이 3·4위전에서 맞붙습니다. 각각 터키와 한국을 이끌고 4강까지 이끌었던 귀네슈와 히딩크 감독입니다. 이후 이 둘의 한국 인연은 귀네슈의 FC서울 감독직 수락과 히딩크의 재단 설립, 명예 시민, 그리고 박지성과 이영표로 이어졌습니다. 히딩크가 2002년 당시 최고의 선수들을 발굴해주었다면 귀네슈는 10년 뒤를 책임질 선수들을 발굴하고 가꾸었습니다. 현재 대표팀 주장인 '캡틴' 박주영, 그리고 '쌍용' 이청용, 기성용을 비롯해 그가 서울에서 함께한 삼인방은 유럽에서 최고의 활약을 펼치며 한국을 빛내고 있습니다. (물론 이 전부가 귀네슈의 공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