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운 4살에게는 단호함이 중요합니다.
·
교육과 육아
미운 네살 혹은 4살의 아이를 키우며 주변 아이의 동갑내기 친구들을 보며 느끼는 미운 4살의 가장 큰 차이는 감정이 굉장히 격하게 변하며 감정이 빠르게 변하면서 엄마와 아빠가 어떻게 하면 본인이 지금 원하는 걸 해주는 지 알 정도로 학습한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지금 내가 장난감 가게에서 드러누워 떼를 쓰면 내가 원하는 장난감을 사준다는 것을 알고 있다거나 차를 타고 이동하거나 카시트에 타는 것을 거부하면 맛있는 과자를 준다거나 하는 등 아이들을 학습을 하며 성장을 하고 지금도 엄마와 아빠의 반응을 통해 학습을 하고 있습니다. 마치 알파고가 수를 두어가며 결과를 토대로 학습을 하고 최적화 하는 과정과 유사합니다. 경험을 통해 학습을 하는 것은 모든 동물의 기본적인 학습 알고리즘이듯 지금 당장의 상황을 ..
애자일(Agile)만 하면 안되는 이유!
·
잡념과 생각
제목이 거창하다. 최근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조직 문화를 만들어 생산성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기업들이 가장 많이 선택하고 답습하고 있는 애자일은 위키에 아래와 같이 정의되어 있다.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Agile software development) 혹은 애자일 개발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에 대한 개념적인 얼개로, 프로젝트의 생명주기 동안 반복적인 개발을 촉진한다. 최근에는 애자일 게임 보급 등의 여파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뿐 아니라 다양한 전문 분야에서 실용주의적 사고를 가진 사람들이 애자일 방법론을 적용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사실 애자일에 대해 깊이 있게 알고자 하면 구글링만 해도 워낙 많은 자료들이 쏟아져 나오기 때문에 애자일에 대한 이야기보다는 애자일을 무작정 찬양하는 일부의 사람과 ..
프로덕트 매니저와 프로젝트 매니저는 다르다!
·
잡념과 생각
사실 모든 직무를 세분화하고 나눈다는게 무슨 의미가 있나 싶고 결과적으로 프로덕트 매니저(Product Manager)를 목표로 삼고 있는 사람에게는 더더욱 연연하지 말라고 하고 싶다. 물론 일반적인 수준에서 생각하면 PL과 PM이 하는 일이 다르고 서비스 기획자와 전략 기획자가 하는 일이 다르다. 때때로 그 경계가 모호하기에 더 높은 위치 혹은 Role을 가지는 것을 선호하는 경우도 있지만 실상 하는 일은 분.명.히. 다르다. 특히 프로젝트 매니저와 프로덕트 매니저를 마구잡이로 혼용하면서 두 사람의 역할이 같다고 표현하는 경우도 많은데 필자는 기본적으로 '프로젝트 = 프로덕트' 라는 일반화 자체가 과연 어떤 프로덕트 매니저가 저렇게 정의를 할까? 라는 의구심부터 든다. 일단 하나의 프로덕트(프로덕트의 ..
맥북 블루투스 장치들이 자주 끊길 때!
·
자료 모음
사실 이 문제는 여러 블로그들에서도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사실 블루투스라는게 결국 서로 간섭이 많아지면 이런 끊김 현상을 어쩔 수 없어서 뭐라 이야기 하기도 어렵고 원인도 워낙 다양하기에 주변을 잘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단 지금 당장 시도는 해봐야 하니까 아래 세가지 요소를 검토해보면 좋다. 특히 매직마우스와 같은 주요 블루투스 장치가 너무 자주 끊기는 분들은 아래의 사항들을 하나씩 체크해보면 좋을 것 같다. 1. 컴퓨터를 종료하지 않은지 오래 되었다. 딱히 얼마나라고 표현하기 어렵지만 대기 상태의 블루투스가 세션을 계속 누적시키는 방식이니 점심시간 혹은 업무 종료 후에는 시스템 종료를 해주는 것을 권합니다. 이것 마저도 귀찮은 사람은 응용프로그램의 터미널을 실행한 뒤 아래의 ..
추천 시스템과 추천 시스템의 단점
·
잡념과 생각
얼마 전 우연치 않은 기회에 추천 시스템도 돈을 버는 추천 시스템이어야 하고 그래서 결제를 하는 고객과의 연계를 통해 더 수익이 늘어나는 추천 시스템을 고안했다는 글을 보았다. 사실 이 글과 유사한 글들에서 느낀 것은 결과적으로 추천 시스템이 잘 작동하고 있고 만족도가 높아진다면 BM이 적절히 존재하는 서비스(특히 해당 글의 필자들이 언급했던 서비스들)라면 당연히 비용을 지불한 고객이 늘어나야 정상적이다. 사실 비즈니스 로직을 살펴보면 추천 시스템을 도입하거나 작동하게 하는 당연한 이유인데 비즈니스 로직을 모르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나는 추천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을 넘어 돈을 벌 수 있게 했다.'라는 뉘앙스는 그 프로덕트에 대한 비전 공유가 잘 된 것인지 의문이 든다. (작성하면서 혹시라도 다른 글이 있..
HERP ATS를 보고 우리를 보자!
·
잡념과 생각
최근 일본의 한 사내 채용 관리 시스템 HERP가 50억 가량의 시리즈 A 투자를 이끌어 내면서 관심을 끌고 있다. 이 시스템은 사내 채용 관리 시스템이 서비스화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API로 연계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여기서 주목할만한 점은 채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사 담당자의 어려움에 주목했다는 것이다. 일단 이 회사는 25명의 직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7년에 설립했다. 자본금은 2,500만 엔으로 2억 8천만 원 정도이다. 일부에서는 AI 채용 플랫폼이라고 홍보가 되기도 했는데 아직까지 번역기로 해석해가며 본 자료에서는 어느 부분에 AI의 어떤 기술이 응용되었는지 찾을 수 없었다. 사실 나도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를 리드하고 있는 상황이라 관심 있게 봤는데 딱히 찾을 수..
알 수 없는 "libc++abi.dylib: terminating with uncaught exception of type NSException" 오류가 발생하며 꺼질 때
·
코드와 오류 기록
알 수 없는 "libc++abi.dylib: terminating with uncaught exception of type NSException" 오류가 발생하며 꺼질 때 아래의 사항들을 살펴보면 좋다. 1. IBOutlet이 여러 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지 (없는 경우에는 에러 나지 않거나 없다는 표기가 됨) 2. IBAction이 여러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지 3. Segue로 연결된 경우 Segue 아이디가 여러 개인지 확인 마지막으로 Storyboard의 Segue를 선택하고 Inherit Module From Target을 체크하거나 상단의 Module의 이름 확인이 필요하다. 특히 앱의 이름을 변경한 경우 꼭 확인해야 함.
티스토리 새 에디터 사이트맵 구글 검색 등록
·
자료 모음
사이트맵을 등록하면 검색 노출에 더 낫다는 이야기가 있어서 search console에 등록하던 중 사이트맵을 기존 에디터에서는 링크 주소를 가져오면 tisotry.com/attachment로 시작되는걸 가져왔는데 지금은 cdn.kakao로 링크된다. 첨부파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이 바뀐 것인지 알 수 없지만 결과적으로 이렇게 되면서 동일 URL에서만 읽어올 수 있는 구글 search console에 URL 등록이 어려웠는데 찾아보니 새로운 에디터에서만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그래서 블로그 설정으로 들어가서 콘텐츠 > 설정 을 누르고 들어가서 새로운 글쓰기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하고 다시 새로운 글을 작성해서 사이트맵 xml 파일을 첨부하고 링크 주소를 복사하니 정상적으로 작동하였다.
미운 4살 훈육법
·
교육과 육아
육아와 훈육은 결국 아이들이 자라는 환경과 그 환경을 만들어 주는 부모의 차이만 있을 뿐이다. 물론 여기에는 아이마다 다른 성격을 갖고 부모마다 다른 환경에 처해있기에 일반화할 수 없다는게 정설에 가깝지 않나 생각된다. 아동심리학, 교육심리학 등으로 파편화되고 있는 심리학과 육아 관련 학문들은 사실상 인간의 성격이 형성되는 것에 기반을 하게 되는데 따지고 보면 뭐 하나 맞는 것도 없어 보이고 육아를 직접 하다보니 어떤 말이 맞는지도 모르겠다. 심지어 '훈육'이라고 부르는 단어가 주는 어감에서 어떤 이들은 아이들을 혼내고 화내고 무섭게 하는 것을 떠올리기도 한다. 근데 이마저도 그 사람이 '훈육'이라는 표현을 들어왔던 상황이나 '훈육'을 받으며 어떤 느낌을 받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에 객관적인 표현이..
프로덕트 매니저(Product Manager)의 불만과 회사 선택!
·
잡념과 생각
프로덕트 매니저란? 저는 개인적으로 프로덕트 매니저(이하 PM)란 서비스 기획부터 전략, 마케팅, 제품 개발, 운영 유지보수 등 특정 제품 하나에 대한 전반적인 모든 분야를 담당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며 물론 이 프로덕트의 신사업 기획 또는 프로덕트로부터 파생되어 나오는 파생상품까지도 기획할 수 있는 General 한 직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정의는 회사의 규모와 회사의 R&R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보편적으로 PM이라고 하면 이런 범주 안에서 자신의 세부 분야를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더 자세한 제가 겪은 PM에 대한 이야기는 앞서 포스팅한 글에서 보다 자세히 언급했으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2019/08/16 -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 프로덕트 매니저는 어떤 일을 하..